대순회보 112호 〉 28수 별자리
9. 우수(牛宿)
9. 우수(牛宿)
글 교무부
28수(宿) 중 아홉 번째 별자리인 우수(牛宿)는 두수와 함께 수기운(水氣運)을 맡아 다스리는 북방 현무 7수(宿)에 속하며, 거북과 뱀이 모인 현무의 형상에서 뱀 부분에 해당한다.
『천문류초(天文類抄)』01에 따르면 우수는 10개의 별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우수의 수거성(宿距星)02인 우성(牛星)은 주홍색인 6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우수는 하늘의 관문(關門)과 교량(橋梁)을 뜻하고 백성의 운을 주관하며, 28수를 관장하는 신명들 중에서 구순(寇恂)03신명이 관장한다.
우성은 24절후 중 소서(양력 7월 5일경) 때에 동쪽에서 떠오른다. 이때는 논매기를 하는 때로 소를 이용하여 땅속을 갈아엎어 남아 있던 음기를 없애고 양기로 만물을 깨워 왕성하게 자라도록 한다. 우(牛)가 소를 뜻하며, 농사에 주로 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우수는 농사와도 관련이 깊다. 특히 우성 중에서 견우성(牽牛星)인 우(牛)별은 소를 관장하므로 이 별이 이동하면 소에 재앙이 많게 되고, 주변의 작은 별들이 없어지면 소에 질병이 돌게 된다고 별점을 쳐왔다.
우수에는 견우성 외에 직녀성(織女星)도 있다. 직녀성은 3개의 주홍색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운(文運)ㆍ과실 또는 나무줄기ㆍ실ㆍ천ㆍ보옥(寶玉)을 주관한다. 사람의 효심이 지극하여 신이 감동하면 직녀성의 모든 별이 밝아지고, 또 이 별들이 밝아지면 길쌈 등 여인들이 하는 일이 잘된다고 한다. 직녀는 하늘의 여자를 뜻하기에 직녀성이 보이지 않으면 여자가 병을 앓게 된다고도 하였다.
직녀성의 옆에 ‘가마길 별자리’라고도 하는 연도(輦道)는 6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천자가 즐겨 거니는 길을 뜻하며 금성 또는 화성이 머무르면 천자가 다니는 길에 병란이 일어난다고 한다.
직녀의 아래에 4개의 어두운 별로 이루어진 점대(漸臺)는 물가에 있는 누대로, 물시계와 율려(律呂)를 맡는다. 견우를 그리워하며 기다리는 직녀가 머물었을 법한 이 별자리는 밝으면 음양이 조화를 이루어 음악의 화음이 이루어진다고 전한다.
은하수가 넘치는 것을 경고해 주는 하늘의 북을 뜻하는 하고(河鼓)는 3개의 주홍색 별로 군대의 북과 병기를 주관한다. 또한 삼무(三武)라 하여 천자의 삼장군(三將軍)을 주관하므로 별이 밝고 크면 장군이 길하고 움직이면 병란이 일어난다고 한다. 장군이 있는 곳에 으레 깃발이 있듯이 하고를 중심으로 위에는 좌기(左旗), 아래에는 우기(右旗)가 자리하고 있다.
하고의 옆에는 북을 치는 북채를 뜻하는 천부 가 있다. 한 별자리인 것처럼 하고와 가까워지면 군사적인 용도로 북채를 쓰게 된다고 한다. 주로 시간을 알리는 일을 맡고 있으며 이 별이 어두워지면 시간을 제대로 알리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우성의 옆에 자리한 나언(羅堰)은 3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방을 쌓아서 물을 저장함으로써 논밭에 물을 대는 일을 주관한다. 이 별이 크고 밝으면 큰 홍수가 일어나 물이 넘치게 된다고 전한다. 나언의 아래에는 천자가 있는 도성 안의 밭을 뜻하는 천전(天田)이 자리하고 있다. 9개의 별로 이루어진 천전은 각수(角宿)에 속한 천전과 별점 풀이가 같다. 금성이 머무르면 병란이 있게 되고, 화성이 머무르면 가뭄이 들게 되며, 수성이 머무르면 장마가 들게 된다.
천전의 아래에는 9개의 별로 물이 흐르는 도랑을 뜻하는 구감(九坎)이 자리하고 있다. 구감은 주로 샘물이 흘러서 가득차고 넘치는 등의 일을 주관한다. 나언을 제외하고 다른 별과는 다르게 이 별은 밝고 성대하면 중국 변방의 부족들이 침범을 하는 등 재앙이 있게 되고, 반대로 밝지 않을 때 길하다고 한다.
『홍연진결(洪煙眞訣)』04에 따르면 하늘의 현상이 인세에 영향을 준다고 믿어 땅에 별자리를 대응해 놓았다. 우리나라 땅에서 우수는 경남 지역인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ㆍ창녕군의 영산ㆍ창원ㆍ청도ㆍ밀양에 해당한다.
서양의 12황도궁 중에서 우수에 해당하는 별자리는 염소자리이다. 우수의 수거성인 우성 중에서 중간에 위치한 1개의 별과 염소자리(Cap)의 β (Beta)별인 다비흐(Dabih. 3.1등성)를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요즘에는 동양의 하고성과 비교할 수 있는 서양의 독수리자리(Aql) α 별인 알타이르(Altair. 1등성)를 견우성이라 한다. 언제부터 그렇게 전해졌는지 뚜렷한 자료는 없으나 다비흐가 3등성이어서 어두우므로 1등성인 밝은 알타이르를 견우성으로 하여 0등성인 직녀성05과 어울리게 하였다는 추측이 있을 뿐이다.
우수에 관해서 동양에서는 일 년에 한 번만 만날 수 있는 견우와 직녀의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서양에서는 전령의 신 헤르메스의 아들인 판(Pan)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판은 태어날 때부터 염소의 뿔이 있었고 다리와 얼굴에도 염소처럼 수염이 나 있었다. 어느 날 신들이 모인 연회석에서 괴물 티폰(Typhon)이 나타나자 판은 물고기로 변신하여 도망치려다가 주문을 잘못 읽어 상반신은 뿔과 수염을 가진 염소로 하반신은 물고기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다. 다시 변신하려 하였으나 제우스가 티폰에게 당하는 것을 보고 급하게 피리06를 불며 제우스를 구해주러 갔기 때문에 변신할 수 없었다. 판의 피리소리에 놀라 티폰은 도망가고 무사히 제우스를 구할 수 있었다. 이에 보답하기 위해 제우스가 판을 별자리로 만들어 준 것이라 전하고 있다.
반양반어(半羊半魚)인 염소자리의 모습을 보면 우수를 수호하는 신장인 우금우(牛金牛)07의 모습이 떠오른다. 우금우는 반인반수(半人半獸)의 모습으로 소의 머리에 사람의 몸을 하였으며 키가 2m 70cm이다. 얼굴은 황소처럼 누렇고 검은색이며, 이마 위에 2개의 뿔이 나와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고 전한다.08
01 세종의 명에 따라 천문학자 이순지[李純之, 1406(태종6)∼1465(세조11)]가 편찬한 천문학 서적.
02 각 수(宿) 구역의 서쪽에 위치한 가장 밝은 별로 28수의 위치를 쉽게 찾게 하는 기준이 된다.
03 광무제 때 문무를 겸비한 장군으로, 경에 밝고 행실이 발랐으며 백성과 병사들을 잘 다스렸던 인물이다.
04 화담 서경덕 선생이 짓고 토정 이지함 선생이 수정한 고대 천문, 기문, 둔갑술에 대한 서적.
05 거문고자리(Lyr)의 α(Alpha)별인 베가(Vega. 0등성)와 비교한다.
06 판이 사모하던 슈링크스라는 님프가 사랑고백을 거부하며 갈대잎으로 변신하자 그는 그 잎으로 피리를 만들어 몸에 지니고 다녔다고 한다.
07 28수 중 우수의 ‘우’, 금성의 정기를 받았다는 말에 ‘금’, 끝으로 수호하는 동물 이름의 음인 소 ‘우’자로 이루어져 있다.
08 대유연구소, 『대유학보 7월호』, 대유학당, 2008, pp.6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