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수련도장 건립
.jpg)
잘 아시는 바와 같이 여기(제주도장)를 수련도장이라 합니다. 계획을 몇 년 전부터 했습니다. 여기를 도장이라 하고 상제님을 봉안했기에 영대(靈臺)라 합니다. “영대는 하나다”라고 한 것은 장소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을 실제 모신 곳을 영대라고 하고 그런 곳은 한 군데, 우리뿐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영대가 어느 한 곳에만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잘못입니다. 서울, 여주, 여기에 있는 것이 각각이 아니며 하나이고 다 영대입니다. 사람도 여유가 있으면 집이 여기저기 여러 군데 있을 수 있습니다. 즉 별장 같은 것입니다. 예를 들면 조계종에 여러 사찰이 있는데 명산, 명소에 대웅전 짓고 부처님 모신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닙니다. 석가모니는 한 분이지만 여기에도 저기에도 나타납니다. 이것과 같이 영대가 여러 군데 있다 해도 다른 게 아닙니다. 하나입니다. 법에 어긋나는 것이 아닙니다. 상제님 모시는 곳인데 10군데라도 많습니까? 법에 어긋나는 것이 아닙니다. 법에 어긋나면 일이 순조롭게 되질 않고 안 됩니다. 의아해하거나 이상하게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만약 우리 도법에 어긋나면 일이 되는 것은 고사하고 벌을 받습니다. 법에 맞으니까 일이 순조롭게 되어 도장 자리도 잡아지고 집을 짓는 데 있어 조금도 장애가 없었습니다. 이곳 제주도 도장은 몇 해 전부터 계획을 했던 것입니다. 처음에 강원도 설악산 근처에 할까 하다가 제주도로 정한 것입니다. 영대가 완성되면 치성을 올려야 하는 법입니다. 애초에 시작할 때 제주도 도장에서 6월 24일 구천상제님 화천치성을 올리려고 마음을 굳혔었습니다. 지난 2월 20일(양력 3월 27일) 기공식 1주일 후 치성 날을 잡고 일을 시작했는데 순조롭게 잘되었습니다. 나중에 막바지에 일이 어려워서 화천치성을 못 올리는 게 아닌가 했지만, 결국에는 모든 것이 다 순조롭게 잘되었습니다. 안 될 일이라면 순조롭게 되지 않습니다. 건설회사에서는 11월 말이나 12월 초로 잡았습니다. 내가 맞춘 6월로는 회사 측에서는 어렵다고 했습니다. 비나 홍수의 천재(天災)로 공사가 늦어지면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니 치성 날짜에 맞춰서 일을 해보라고 했는데 일이 순조롭게 되었습니다. 처음 공사 시작하고 네 달 반에 완성했습니다. 제주도는 날씨로 일이 어려운데 지하 1층 포함한 8층 건물을 짓는데 네 달 반 걸렸습니다. 이런 공사는 있을 수 없습니다. 낮에 일할 때는 비가 안 오고 꼭 밤에 왔습니다. 상량식01하고 며칠이라도 날씨가 안 좋았다면 이번 치성 날짜에 맞출 수가 없었습니다. 상량식하고 나서 공사하는 동안 날씨가 계속 좋았습니다. 원래 제주도는 날씨가 안 좋은데 비가 한 방울 안 왔습니다. 7층 콘크리트 치고 비가 안 왔습니다. 7층은 닫집으로 하니 다른 층보다 날짜가 배나 더 드는 것인데도 순조롭게 되었습니다. 콘크리트 치고 나면 비가 왔습니다. 와도 밤에 왔습니다. 일하는 사람들 이상하게 생각할 것입니다. 새벽 3시, 4시까지 일했는데 그때 비가 오고 했으면 6월 24일 치성을 못 올렸습니다. 이것은 전부 하느님께서 되도록 맞추셨기 때문에 되었던 것이고, 도인들의 성심으로 이루게 된 것입니다. 인부들이 노는 날이 없으니 일하는 데 지겨워했습니다. 구름 한 점 끼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여기 제주도에 수련도장이 서야 하는 이치를 잘들 명심하기 바랍니다. 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제주수련도장을 유용하게 운용해서 아주 보람 있게 써 주기 바랍니다. 공사하는 동안 하루 300명이 동원되고 비계를 설치하는 어려운 조건 속에서 일을 했는데 한 사람도 다친 사람이 없었습니다. 상제님과 천지신명들이 도와주시지 않고는 도저히 이룰 수가 없는 일입니다.
.jpg)
▲ 제주도 유채꽃과 한라산
제주도장은 기도 및 회의 장소로 쓰고, 사람이 많이 모일 때는 숙소로도 하고 다용도로 쓰면 됩니다. 제주도에 있는 도인들 다 쓰도록 하되, 여기에서 입도치성만은 못 올립니다. 회의장이 여섯 군데이니 각 방면마다 선무나 선사나 각자 자기네들이 쓰고 싶은 대로 써도 좋습니다. 주일기도도 여기에서 모시면 됩니다. 제주도 도인들은 이곳을 쓰면 되니 따로 회관을 지을 필요가 없습니다. 서귀포에도 터를 하나 더 마련해서 제주도인들이 이렇게 쓰고 250명을 수용할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제주도 도인은 그렇고, 지방 도인들은 방면별로나 전체로 해서 250명 정도를 이곳에서 수련시킬 것입니다. 다른 단체에서도 연수원을 세우는데, 연수가 즉 수련을 뜻하니 우리는 수련도장이라 했습니다. 연수라고 생각하고 더워서 괴로워도 참아야 합니다. 연수의 목적은 단체훈련을 통해 단결성을 기르는 것입니다. 우리도 수련을 통해 단결성을 기릅니다. 여기가 아름답기로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곳이니 구경도 하고 교육도 받도록 할 계획인데 지방 임원으로부터 수반까지 250명씩 반을 짜서 날짜는 4박 5일을 할 것입니다. 오는 데 하루, 가는 데 하루면 3일을 머무르게 됩니다. 수련반은 오전에는 수강을 받고 오후에는 구경을 하도록 할 생각입니다.02 그러려면 수강 강사가 필요한데, 여기 강사는 2명이 한 조로 반나절씩 교대하는 것으로 하고, 15일∼20일씩 있게 할 것입니다. 1달이면 1,300명, 1년이면 15,600명이 연수를 받게 됩니다. 10년을 연수한다고 해도 몇 명이나 참석하겠습니까, 생각하면 얼마 되지 않는 숫자입니다. 서귀포에도 250명 해서 모두 500명을 한 번에 연수시키려 합니다. 이곳은 너무 오기가 쉬워도 안 되고 너무 어려워도 안 됩니다.
1989. 7. 26(음 6. 24)
✽ 아래의 각주는 위 훈시 말씀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무부 편집팀에서 첨부한 것입니다.
01 1989년 6월 30일(음 5월 27일) 정오. 02 제주도 수련도장 연수는 1989년 10월 6일(음 9월 7일)에 시작되었고, 실제로는 5박 6일로 시행되었다.
도전님 훈시│ 267호부터 게재하고 있는 「도전님 훈시」는 1984년부터 1995년까지 훈시하신 말씀입니다. 이는 종무원에서 공식적으로 기록한 것을 기본으로 하고, 여러 임원이 기록한 내용을 참고하여 대순종교문화연구소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그 내용은 모두 자문위원들의 고증을 거쳤습니다. 기존의 《대순회보》에 기재한 15편의 「도전님 훈시」는 제외하고 시간적인 순차에 따라 게재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