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51년(2021) 7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도장은 지금 전경 성구 교리 소개 생각이 있는 풍경 글로벌 대순 대순광장 지방 회관 소개 대순문예 광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도서관 소식 내가 읽은 책 알립니다

글로벌 대순 : 『현대 한국에서의 대순진리회』 서문

『현대 한국에서의 대순진리회』 서문




도널드 L. 베이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이 글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의 도널드 베이커 교수가 2020년 영국에서 출판된 『현대 한국에서의 대순진리회: 신종교의 출현, 변화 및 전승』이란 책에 쓴 추천 서문이다. 이 책의 저자인 데이비드 김 박사는 국민대학교 아시아사학과 교수이자 호주국립대학교(ANU) 역사학부 방문연구원이다. 저자는 책에서 1860년 이후 전개된 한국 신종교 중 대순진리회가 규모와 사회적 영향력에서 현대 사회에서 가장 성공적인 종단 중 하나가 된 이유를 서술하고 있다.
  이 추천 서문에서 대순사상에 대한 내용은 베이커 교수의 개인 견해이므로 종단의 공식적인 입장과 다를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참고로 이 글은 원문에 충실하기 위해 직역 위주로 번역하였다.



도널드 L. 베이커 교수 소개
도널드 베이커 교수는 1983년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한국사를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1987년부터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에서 한국사 및 사상(종교, 철학, 근대 이전 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한국 문명 사료집 (the Surcebook of Korean Civilizatin)』의 공동 편집자이자 『한국 기독교 비평 (Critical Readings on Korean Christianity)』의 편집자이다. 조선 후기 『유교와 천주교의 대립』과 『한국 영성』의 저자이다. 2008년에는 다산 정약용에 관한 연구로 다산 상을 받았다. 2013년에는 조선왕조실록 영문번역 국제 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15년 ‘한국 조선 왕조의 창시자가 1392년 자신의 권력 장악을 어떻게 정당화했는가’에 대한 기사는 2013~14년 한국저널 (Korean Journal)에 실린 최고의 기사로 선정되었다.



서문

  대순진리회는 신종교이므로 일반적으로 사회에서 받는 신종교에 대한 비판을 감수해야만 했다. 그리고, 신종교에 대해 좋지 못한 인식이 따라다녔고 심지어는 미신의 전도자라고 불리었으며 기성 종교에 비해 여러 자질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되고 폄하되어왔다. 그러나 대순진리회는 남에게 “척을 짓지 말라”는 교리대로 비평가와 논쟁을 벌이지 않았고, 대신 이러한 교리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실천을 통해 비평가들이 틀렸음을 보여주었다. 그러한 비평에도 불구하고, 대순진리회는 한국 종교계의 중요한 축이 될 만큼 크게 성장하여 많은 이들에게 존경받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학계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한국의 종교 및 문화학자들은 대부분 샤머니즘, 불교, 유교, 기독교의 4개 종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물론 이 종교들도 당연히 학문적 고찰을 받을 자격이 있겠지만, 이들은 이 4개의 종교에만 집중함으로써 대순진리회만이 가진 흥미롭고, 독특하고 가장 한국적인 영성의 특징들을 발견하지 못했다. 다행히도 데이비드 김 박사가 『현대 한국에서의 대순진리회: 신종교의 출현, 변화 및 전승』의 집필을 통해 대순진리회의 경전, 신학, 철학, 윤리, 의례 및 종교 예술 등에 관한 연구를 하였으며, 현대 한국인의 영성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시각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왔다.
  독자들은 이 책의 초반에 강증산이 하늘의 최고의 신 구천상제라고 믿는 사람들 사이에도 크고 작은 여러 개의 분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따라서, 대순진리회가 이러한 여러 분파 중에 어떻게 가장 크게 성장하고, 존경받는 종교가 될 수 있었던 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대순진리회를 믿는 사람들은 대순진리회가 다른 어떤 단체보다 강증산의 유지(遺志)를 잘 받들어 실천한 결과라고 말한다. 그러나, 외부인들은 대순진리회 설립자 박우당의 조직력과 카리스마에 그 원인을 돌리는 경향이 있다. 박우당의 조직력에 대해 본 서적에서도 서술되어 있다.
  19세기 말경 한국에 처음 정착하기 시작한 개신교 선교사들의 사례에도 나오듯이, 종교 단체가 모범적이고 현대적인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현대식 교육 기관과 병원을 운영해왔다. 몇십 년 동안 박우당의 능숙한 경영에 힘입어 대순진리회는 이 두 가지 일을 모두 해냈다. 그러나 이것이 대순진리회가 두각을 나타낸 유일한 이유는 아니다. 대순진리회는 근대화의 폭풍을 헤쳐 나가고자 하는 한국인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해왔다. 대순진리회는 한국인들에게 현대적이면서도 전통적이며, 한국 고유의 신념과 가치를 지키면서도 세계화된 현대 생활의 긍정적 면모를 채택하였다. 또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즉, 대순진리회는 독특한 한국적 요소를 지닌 민족 종교이자 현대 종교로서 이러한 것들을 실현해 왔다.
  대순진리회는 ‘하늘의 최고신’이 한반도에서 강세하여 신인으로 살았다고 가르치는 것만은 아니다. 이들은 또한 지난 수 세기 동안 한국의 윤리적 관심사를 바탕으로 하는 윤리적 철학을 가르친다. 중국의 도교, 불교, 유교 전통에서 나온 요소들이 녹아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은 대순진리회에서 새롭게 한국적으로 수용 변화되어 중국의 그것과는 다른 새로운 것으로 재창조되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도교와 유교 신봉자들은 우주의 변화는 다섯 가지 힘, 즉 나무, 불, 흙, 쇠, 물 (목, 화, 토, 금, 수) 사이의 관계에 의해 촉진된다고 믿었다. 반면에 이러한 관계는 나무가 자라나 흙을 쪼개고, 금속이 나무를 자르고, 불이 금속을 녹이고, 물이 불을 끄고, 흙이 물을 막고, 또한 이것이 계속 반복되는 그러한 상극에 의해서도 지배를 받는다01. 이렇게 서로 돕고 파괴하는 상호작용은 끝없이 반복된다.
  그러나 대순진리회는 이 세상이 이러한 상극에 지배되었고, 따라서 원한이 쌓였다고 한다. 그리고 상극의 세상이 종말을 고하고 새로운 상생의 세상이 온다고 가르친다. 즉, 상생의 세상이란 나무가 불을 만들고 불이 흙(재)을 만들며 흙이 금속을 생산하고(땅속에서 채굴) 금속이 물을 생산하며(응결을 통해) 물이 나무를 생산하듯이, 인간들은 어떠한 재난과 질병도 없는 상호 조화와 생산적인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세상을 말한다.
  한국 전통의 맥이 살아 있는 대순진리회가 한국에서 설득력이 있는 것은 조화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즉 인간 공동체에서의 조화, 인간과 자연의 조화, 인간과 영적 존재의 조화가 그것이다. 이러한 조화를 이루는 그들의 수도 방식은 오랫동안 상극이 만들어낸 원한을 제거함으로써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부당한 처사와 혹사에 분개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러한 교리에 관심을 두게 될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가까운 미래에 더 나은 세상이 올 것을 말하며, 이에 맞는 의례와 윤리 규범을 가르쳐서 끊임없는 갈등의 구(舊)세상의 종말을 앞당기고 상호 협력, 평화, 번영의 신(新)세계로 이끌어 줄 것을 약속한다.
  대순진리회가 한국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는 또 다른 이유는 다른 한국의 신종교에 비해 기독교적인 면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찬송가나 설교가 있는 정기 주일 예배는 없다. 게다가 기독교와는 달리, 그들은 하늘이 아닌 바로 이 땅에서 지상 천국을 약속한다. 더욱 놀라운 것은, 대순진리회는 끊임없는 갈등의 구시대가 끝나면 인간 자신이 바로 신과 같은 존재가 되기 때문에 더 이상 신의 도움으로 어떤 것을 이룰 필요가 없다고 가르친다. 이는 대순진리회가 서양의 신중심주의보다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인간중심주의와 더 잘 맞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순진리회에서는 한국적인 전통을 잘 보전하면서도 세계화와 현대화의 도전에 대처해 온 한국인들의 모습을 매혹적으로 엿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종교, 문화, 역사 학자들이 대순진리회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더욱 폭넓은 시야를 가지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는 대순진리회가 마땅히 받아야 하는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켜 준 데이비드 김 박사에게 감사해야 한다.




01 요크 호펑, 『중국의 과학과 문명에 대한 소개』, 홍콩대학 출판부, 1985. pp.11-24




Preface of 『Daesoon Jinrihoe in Modern Korea』



Donald L. Bak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Canada


PREFACE

  Daesoon Jinrihoe is still a new religion, so it has had to endure the criticism that new religious movements usually receive. It has been labeled a cult, it has been called a purveyor of superstition, and it has been denigrated for supposedly lacking the qualities that define a genuine religion. True to its teaching that we should do nothing to cause others to get angry with us, Daesoon Jinrihoe has not engaged in arguments with its detractors. Instead, it has let its history prove its detractors wrong. Despite its critics, it has thrived and grown large and respectable enough to become a major component of Korea"s religious landscape. Yet, up to now, it has not received much scholarly attention. Most scholars of Korea"s religious culture focus on its four major components: shaman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Those are all deserving of academic examination, of course, but a focus only on those four relegates to the shadows some of the more interesting, and more distinctively Korean, features of Korean spirituality. Fortunately, David Kim has stepped up to help us gain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contemporary Korean spirituality with this survey of the scriptures, theology, philosophy, ethics, rituals and even the sacred art of Daesoon Jinrihoe.
  Early on in this book, readers will learn about a dizzying series of fissures in the community of those who believe that Kang Jeungsan was the incarnation of the Supreme God Above (Sangje). That will inspire questions about what is so special about Daesoon Jinrihoe that it was been able to rise above the fray and become the largest, strongest and most respected in the entire Jeungsan family of religions. Believers might answer that it is the result of Daesoon Jinrihoe sticking closer to the original message of Kang Jeungsan than other groups. Outside observers tend to give the credit to the organisational skills and charisma of Park Han-Gyeong, also known as Park Wudang. Evidence of Park"s organisational skills can be seen in this study. Thanks to the example of Protestant missionaries who first began settling down in Korea near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for a religious organisation to be seen as respectable and modern, it should operate modem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odern hospitals. Led by Park"s skillful management in its first decades, Daesoon Jinrihoe has done both.
  But that is not the only reason for Daesoon Jinrihoe"s rise to prominence. Daesoon Jinrihoe has provided guidance for Koreans seeking to navigate through the typhoon-force winds of modernisation. It has shown Koreans how to be both modern and Korean, how to adopt the positive features of globalised modern life without jettisoning those beliefs and values that are uniquely Korean so that they can maintain their Korean cultural identity. It has done that by being both a modern religion as well as a Korean religion with distinctive Korean elements.
  It is not just that Daesoon Jinri teaches that the Supreme God Above reincarnat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lived as an ordinary Korean man for several years. It also teaches an ethical philosophy that draws on Korean ethical concerns from centuries past. And, though Daesoon Jinrihoe embraces elements from China"s Daoist, Buddhist and Confucian traditions, those elements have been so Koreanised that few Chinese would recognise them. For example, both Daoists and Confucians in China believed that change in the cosmos was fueled by relations among five forces, to which were applied the labels of wood, metal, fire, water and earth. Those relations were dominated by mutual conflict, in which wood splits earth by growing out of it, metal chops wood, fire melts metal, water quenches fire, and earth dams water, followed by wood splitting earth again and so on01. This is a never-ending circle of destructive interactions.
  However, Kang Jeungsan and Daesoon Jinrihoe teach that the world dominated by mutual conflict is drawing to a close. Instead, we are about to enter an age of mutual production. Just as wood produces fire, fire produces earth (ashes), earth produces metal (mined out of the ground), metal produces water (through condensation), and water, in turn, produces wood, human beings will engage in mutually productive interactions with their fellow human beings leading to a world free of injustice, disease, and other problems, a world that Daesoon Jinrihoe labels a Sangsaeng world.
  It is the emphasis on harmony, harmonious interactions within the human community, as well as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and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spiritual beings, that resonates with Korean tradition and gives Daesoon Jinrihoe such persuasive power in Korea. Moreover, its approach to achieving such harmony, by eliminating the resentment that injustice has generated over the centuries, also has broad appeal, for who has not felt that they have been treated unfairly in the past and resented that mistreatment? Daesoon Jinri promises a better world in the near future, and also teaches techniques, such as its rituals and its ethical principles, that promise to hasten the end of the old world of constant conflict and lead to the emergence of the new world of mutual cooperation, peace and prosperity.
  Another reason Daesoon Jinrihoe appears distinctively Korean is that, arguably, it shows less Christian influence than other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s. It doesn"t have regular Sunday services with hymns and sermons. Moreover, unlike Christianity, it promises a paradise on this earth, not in heaven above. Even more remarkably, Daesoon Jinrihoe promises that soon human beings will not need divine assistance. Not only does it agree with Buddhism and Confucianism that human beings are capable of becoming god-like through their own efforts, it also teaches that once the old era of constant conflict is over, human beings will no longer need gods for anything since humans will have become like gods. This means Daesoon Jinrihoe is more in tune with traditional East Asian anthropocentrism than Western theocentrism.
  Daesoon Jinrihoe offers a fascinating glimpse into Koreans have coped with the challenges of globalisation and modernisation while nevertheless preserving a Korean core. There is much that scholars of Korea, not just scholars of religion in Korea but scholars of Korean culture and modern Korean history in general, can learn from this comprehensive study of Daesoon Jinrihoe. We should be grateful to David Kim for finally giving it the scholarly attention it deserves.




01 Yoke, Ho Peng. Li, Qi and Shu: 『An Introduction to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1985. pp.11-24.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