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52년(2022) 11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도장은 지금 전경 성구 기자수첩 울타리 역사 문화와 함께 읽는 전경 전경 속 이야기 지방 회관 소개 독자 코너 대순문예 공모전 알립니다

대순문예 공모전 : 닫힌 창이라도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닫힌 창이라도



운문 최우수

문정19 방면 선무 김슬기




틀어박힌 방
닫힌 창이라도
 
단단한 유리 너머 햇빛은 넘어오고
틈 사이로 바람 비집기 충분하고
그보다 더 작은 구멍은 모기에겐 가뿐하다
 
창문은 네가 닫았지만
기어이 찾아온 이들을
너는 막을 수 없다
 
그들도 알고 있다
닫힌 창 잠금장치까지 걸 정도로
자신들을 반길 여력이 없다는걸
 
그럼에도 그들은 제 임무를 다 한다
제 존재 이유를 여실히도 안다
햇살도 바람도 하물며 모기일지라도
 
넌 그들을 찾지 않았지만
그들은 늘 너를 만나고자 한다
그들의 발복이 너로 인해 이루어진다
 
온기 한 점 더 전하고
오늘 핀 꽃을 알려주고
혹여 네 마음이 죽었나 싶어서
콕 찔러 생사를 살펴본다
 
그러니 견고한 방일지라도
온전한 네 것이라 할 수 없다
그 방이 너만의 세상일 수 없다




심사평


  ‘닫힌 창이라도’는 제목을 보면 궁금해지기 시작한다. ‘닫은’이 아니라 ‘닫힌’이다. 누가 ‘닫았을까?’ 화자인가, 아니면 조물주인가. 궁금해하고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라는 고민이 생긴다. 천천히 읽어나가면 ‘창을 닫은’ 존재가 얼굴을 숨기고 있다. 화자 시선 위치가 사물의 뒤에 있는 것은 아닐까? 왜 뒤로 숨었을까? 아마 부끄러움이 아닌가 한다. 부끄러움을 안다는 것은 겸손이다. 다시 이름을 붙인 사물을 중심으로 읽어보면 화자는 사물들과 대등한 위치에서 관찰하고 있다. 이를 시학(詩學)에서는 ‘이물관물(以物觀物)’이라 한다. 아마 제유의 미학 정도로 보면 된다. 이 시를 읽을 때 시점이 중요하다. 인간 중심이 아니라, 삼라만상(森羅萬象)의 중심으로 읽어보면 상황이 달리 보인다.
  아무리 단단히 ‘닫힌 창’이라도 그곳에는 ‘햇살’이 들어와 ‘온기’ 한 점을 주고 간다. 그뿐인가 ‘바람’은 오늘 어떤 꽃이 피었는가 알려준다. 바람에 묻어오는 꽃내음으로 저 산 아래 핀 꽃, 저 들판 핀 꽃을 부지런히 가져온다. 거기다가 ‘모기’까지 온다. 그런데 ‘모기’가 따끔하게 ‘침’을 놓는 모습을 ‘네 마음이 죽었는지 살았는지’ 안부를 묻는 ‘발복’이라고 화자는 보고 있다.
  닫힌 자기 방에서 자기 왕국으로 혹은 왕인 것 같지만 그건 당신 세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준다. 굉장한 철학자다. 모기 침이 찌르는 걸 ‘마음이 죽었나’ 싶어서 내게 베푸는 발복 행위로 바라보는 시인의 시선은 철학자를 방불케 한다. 빈틈없는 시적 형상화다. 사실은 모든 삼라만상과 교감한다는 화자의 상상력은 작품 속에서 감동의 지속과 확장을 거듭해 주고 있다. 철학으로는 시가 되지 못한다. 그런데 철학이 빈틈없을 정도로 시적 형상의 옷을 입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관련글 더보기 인쇄 다음페이지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