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55년(2025) 1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도장은 지금 대순칼럼 전경 지명 답사기 대순포커스 내가 본 대순진리회 대순광장 울타리 2025 대순문예 공모전 생각이 있는 풍경 대순문예 공모전 알립니다

내가 본 대순진리회 : 사랑, 정, 감사

사랑, 정, 감사
-미국 인류학자, 도장 치성에 참여하다-

 

 

캔자스주립대학교 인류학과
마이클 웨시 교수

 



  “사랑보다 더 깊은 것은 정입니다.”
  금강산 토성수련도장을 방문했을 때 만난 주훈재 선감(토성수련도장 강사)께서 미소를 지으며 내게 해준 말입니다. 통역을 맡은 주소연 박사(교무부원)는 정(情)이 ‘감정의 하나인 애정 같은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그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며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표했습니다.
  사랑, 그 이상의 의미가 무엇일까요? 영어에서 사랑은 낭만적인 사랑부터 가장 깊은 가족적 유대,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사랑까지도 포괄하는 정서적 애정으로서 영어 문화권에서는 가장 강력한 단어입니다. 하지만 주 박사는 한국의 정에는 애정뿐만 아니라 따뜻한 마음이나 충성심과도 같은 심오한 연결감도 포함된다고 말했습니다. 정이란 우정 혹은 가족애를 포함해 오랜 시간 함께 경험을 공유한 지인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대감이라고 말합니다.
  주 선감께서는 생각에 잠긴 듯 손짓을 했습니다. “사랑은 마음이고, 정은 원입니다.”라고 손으로 원을 그리며 말했습니다. “부처님은 자비를, 공자님은 인을, 예수님은 사랑을 말씀하셨습니다. 그분들은 모두 같은 본질을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한국인에게 사랑보다 더 깊은 것이 있는데, 그것이 정입니다.”
  처음 한국을 방문하여 여러 지역을 여행했습니다. 감사하게도 교무부 연구위원(김태윤 박사, 김주우 박사, 주소연 박사)들의 안내로 강원도와 서울 일대를 다니며 맛있는 한국 음식을 맛볼 수 있었습니다. 연구위원이 건넨 박카스 에너지 드링크로 힘을 얻으면서 울창한 나무가 있는 숲을 걷고, DMZ를 방문하고, 진흙에 젖은 산책로를 맨발로 걷고, 서울의 북촌 한옥 마을과 종묘를 탐방하였습니다.
  이번 한국방문 일정의 하이라이트는 한복을 입고 대순진리회의 치성에 참석한 것이었습니다. 치성 의식에 들어가기에 앞서, 긴 밤을 지새울 것을 예상하고 대순진리회에서 마련한 저녁 식사를 하였습니다. 오징어, 문어, 불고기, 다양한 종류의 김치 등이 푸짐하게 차려졌고 미국 시골에서 평범한 어린 시절을 보낸 저에게는 새로운 음식들이었습니다. 김태윤 박사는 젓가락으로 음식을 먹는 나의 손재주에 감탄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 놀라움은 몇 시간 후 영대에 올라가면서 서서히 바뀌기 시작합니다. 차익제 보정(교무부원)과 함께 신성한 영대에서 대기하면서 조금 전 저녁 음식을 맛있게 먹던 나의 선택에 의문을 제기하였습니다. 어쩌면 그리 많이 먹지도, 그렇게 다양하게 먹지도 말았어야 했나 봅니다. 갑자기 배가 뒤틀리면서 큰 통증이 느껴지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나는 두 손을 앞으로 포개어 엄숙하고 성실한 모습을 유지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고통을 참기 위해 두 손에 힘을 줬습니다. 때마침 여섯 명의 도인이 제단에 올릴 돼지고기를 산더미처럼 들고 왔습니다. 돼지의 머리가 위로 올라가고, 그 냄새가 공간을 가득 채우는 동안 나는 내내 식은땀을 흘렸습니다. 눈앞이 흐려지면서 하늘이 노래지기 시작했습니다. 기절하거나 더 심각한 상태가 될 것 같았습니다. 얼마나 더 오래 버틸 수 있을지 몰랐지만, 이 엄숙하고 중요한 자리에 방해될 거 같아 걱정했습니다.
  차익제 보정에게 가장 가까운 화장실을 안내받고 싶은 마음이 컸지만, 대신 제단 중앙에 있는 강증산 상제님을 바라보며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강증산 상제님이 우주 전체를 질서정연하게 정리할 수 있는 분이라면 반드시 제 몸도 질서정연하게 정리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게끔 만들어 주시리라 생각했습니다. 열기를 동반한 고통이 파도처럼 밀려오는 것을 받아들이면서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이를 악물고 손에 더 힘을 주었고, 강력한 고통의 파도가 몸을 관통하는 것을 느끼는 순간, 갑자기 시원함을 느꼈습니다. 그러고는 몸과 마음이 가벼워지고 편안해졌습니다. 짧은 순간이었지만 대순진리회의 의식에 대한 접근 방식이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사실 나는 ‘이 의식이 얼마나 오래 걸릴까’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내가 견뎌야 할 시간을 분 단위로 세며 시계를 훑어보고 있었습니다. 이 행동이 쓸데없는 짓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영대에서의 경험으로 이제 내가 원하는 곳에 정확히 도착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곳에 있다는 것이 너무 감사했고, 이 순간이 끝나지 않았으면 했습니다. 주변 도인들과의 교감이 느껴지며 존경심이 들었습니다. 이 광활한 하늘 아래에서 우리가 함께 이 땅 위에 있는 것이 얼마나 멋진 일일까요. 이 순간을 공유할 수 있음에 그저 감사하다는 생각만 듭니다. 이 경험은 나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습니다.
  치성이 끝나고 시원한 밤바람이 부는 보름달 아래서 우리는 서로의 경험을 공유했고 사람들은 내 시련을 듣고 웃었습니다. 차익제 보정은 아마도 풀었어야 할 겁액이 있었나보다고 말했습니다.
  이후 수도인들과 짧은 인터뷰에서도 평생 잊지 못할 교훈을 얻었습니다. 이 수도인은 가정주부이자 직장을 다니면서 수도를 하는 여성이었습니다. 딸이자 엄마의 삶을 살고 있다는 그녀는 치성을 시작할 때 자신을 짓누르는 모든 의무와 책임을 생각하면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습니다. 이 생각들이 그녀를 짓누르면서 처음에는 흔들렸지만, 어느 순간 “고맙습니다”라는 마법의 단어를 발견했다고 합니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를 반복하자 몸이 점차 밝아지면서 부정적인 생각과 두려움이 없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수도인들의 이야기를 통해 나는 대순진리회의 종교의식이 자기 조상을 기리고, 그들의 삶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는 방법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시련에 맞서고,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지속적인 불만을 해결할 수 있는 신성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대순진리회의 종교의식인 ‘치성’입니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삶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확인하면서 감사와 겸손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리였습니다.
  인터뷰가 마무리되는 동안, 이 넓은 여주본부도장 곳곳에서 수많은 활동이 있었습니다. 수백 명의 도인이 모여 고기, 과일, 채소, 떡, 전을 옮기고 썰기 시작했습니다. 치성물로 사용된 성스러운 음식을 담은 수백 개의 쟁반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곤 4,000여 명의 도인들이 각자 쟁반에 동그랗게 모여 음식을 먹기 시작했습니다. 처음 만난 사람들처럼 보이는데 밝게 웃는 얼굴로 나눠 먹으며 농담도 건네는, 마치 형제같이 서로를 부드럽게 대하는 모습을 지켜보았습니다. 이 모습에서 애정뿐 아니라 따뜻한 마음, 연대감 같은 심오한 연결감이 느껴졌습니다. 쟁반에 담긴 음식을 함께 먹으면서 점차 깊어지는 유대감을 보면서 사랑보다 더 깊은 무언가를 느꼈습니다. 아마도 이것이 ‘정’인가 봅니다.

 

 

 

 

 


Love, Jeong, and Gratitude:
An American Anthropologist Participates in Chiseong

 

 

by Michael Wesch
Professor of Anthropology Kansas State University

 

  “Even deeper than love is Jeong.”
  Director Joo Hoonjae of Toseong Temple told me with a wise smile. Dr. Joo Soyeon, acting as my translator, struggled to find an English equivalent for 정 (jeong). “It’s something like emotional affection,” she explained, “but it’s more than that.”
  What could be more than love?  I wondered.  In English, "love" stands as our strongest word for emotional affection, encompassing everything from romantic infatuation to the deepest familial bonds, as well as the love of God. But as Soyeon continued, she revealed that jeong includes not only affection but also loyalty, warmth, and a profound sense of connection.  Jeong is a bond that grows over time between people who share experiences, whether in friendships, families, or even just between acquaintances. 
  Director Joo gestured thoughtfully. “Love is a heart. Jeong is a circle,” he said, forming a circle with his hands. “Buddha spoke of mercy, Confucius of beneficence, Jesus of love. They all spoke of the same essence. But for Korean people, there is something deeper than love. It is jeong.”
  This was my first real trip to Korea, and I was treated to a whirlwind of sites, activities, and fantastic food with Dr. So-yeon, Dr. Kim Taeyoon, and Dr. Kim Joowoo from the Research A team. We hiked through lush mountain forests, visited the DMZ, strolled barefoot along mud-soaked trails, and explored hanok villages and sacred temples, all powered by Bacchus energy drinks.
  The highlight of the trip was attending the all-night Chiseong ritual in full hanbok attire. Before the Chiseong, we were served bulgogi with an astonishing array of banchan-squid, octopus, fish, tofu, fruits, vegetables, and multiple types of kimchi. Anticipating the long night ahead, I eagerly tried everything. Dr. Taeyoon marveled at my dexterity with chopsticks as I sampled new combinations, each bite surprising and vibrant, far from the plain fare of my rural American childhood.
  But as I stood in front of the sacred Yeongdae a few hours later next to my good friend Jay Cha, I was questioning my choices.  Maybe I should not have eaten so much, or such a wide variety.  My stomach started to turn and churn with pain.  I tried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solemn sincerity, my hands clasped properly in front of me.  I gripped them together, trying to will the pain away.  As six men carried in a mountain of pork for the offering, the pig’s face draped over the top, the smell filling the room, I started to sweat and see green spots.  I felt like any moment I could pass out, or worse.  I did not know how much longer I could last, nor did I know how I could possibly leave and disturb this most important and solemn occasion.
  I wanted so much to turn to Jay and ask him to get me to the nearest bathroom, but instead I looked to Kang Jeungsan at the center of the altar.  I asked for his help, and thought If Kang Jeungsan could reorder the entire universe, surely I can reorder my body and overcome this.  I allowed wave after wave of pain and heat come over me, but I refused to leave or give up.  I gritted my teeth and squeezed my hands tightly as a powerful wave of pain shot through my body, and then just like that, it was over.  The room felt cool.  My body felt light.  My mind felt light and at ease.  And my entire approach to the event changed completely.  Until then, I had only been thinking about how long the ritual would be. I would sneak glances at my watch, counting the hours and minutes I had left to endure.  But now I felt like I was exactly where I wanted to be, I was so grateful to be there, and I did not want it to end.  I felt a sense of admiration and communion with the people surrounding me and thought how wonderful it was that on this earth under these vast heavens that we could come together to give thanks and share this moment together.
  Outside under the full moon in the cool night air, we shared our experiences and my friends laughed at my ordeal.  Jay joked that perhaps I had some bad karma I had to burn off before the ritual could begin.
  But it was Song Yongsun whose experience resonated deeply with my own and taught me a lesson that I will never forget.  Yongsun told me that when she starts the ritual her mind is heavy, thinking about all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weighing on her as a mother and a daughter carrying two jobs while maintaining the household.  The first bow is shaky as these thoughts weigh upon her, but then she finds the magic word, “Thank you.”  She repeats the words, “Thank you, thank you … and all of the sudden my body lightens up, I can feel all the thoughts and the fears leaving my body.” 
  Through their stories, I began to understand how this ritual is a way for my friends to honor their ancestors, reflect on their lives, and find a path forward. It provides a sacred space to confront challenges, acknowledge past mistakes, and address ongoing grievances, helping them center themselves in gratitude and humility while re-affirming their commitment to resolve grievances to create a better world.
  As we talked, a flurry of activity broke out all over the sprawling temple complex.  Hundreds of people started slicing meats, fruits, vegetables, rice cakes, and pastries.  Dozens more rushed among a sea of tables, filling hundreds of large platters with the foods from the sacred offering.  And then 4,000 people gathered in circles around each platter.  I watched as my new-found friends dug in to the food with joy and laughter, sharing inside jokes, and gently teasing one another like brothers.  I saw not only affection but also loyalty, warmth, and a profound sense of connection.  I saw enduring bonds that grow over time through shared experience. I saw a circle of friends standing around a circular tray of food, and I saw something deeper than love.  I saw Jeong.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