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별 보기
   daesoon.org  
대순137년(2007) 8월

이전호 다음호

 

도전님 훈시 종단소식 상제님의 발자취를 찾아서(9) 청계탑 도인탐방 『典經』속의 옛 땅을 찾아 수기 대순학생회 대학생 코너 대원종 과학코너 인물소개 고사 한마디 금강산이야기 아름다운 세시풍속 종교산책 철학과의 만남 영화 속으로 이달의 책 & 십자말 맞추기 알립니다

철학과의 만남 : 德스러운 이, 道스러운 자

德스러운 이, 道스러운 자

 

 

글 교무부

 

 

 

  동양 사상에 있어 덕에 대한 견해는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전개된다. 첫 번째는 인간의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을 윤리적으로 실행하는 인격적 능력으로, 두 번째는 천지음양이 만물을 화육하는 힘으로, 세 번째는 道가 구체적인 사물을 통해 도 자체를 드러낸 결과로 설명된다.

  이러한 견해로 미루어 볼 때 덕에 관한 동양 사상의 특징은, 서양과는 달리 덕을 그 자체로써 이해하려 하지 않고 道 그리고 天地와 결부시켜 이해하려는 점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도와 천지라는 상위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동양 사상의 덕 개념은 더욱 넓은 범위 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갖고 발전해올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첫 번째로, 인간의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을 윤리적으로 실행하는 인격적 능력으로서의 덕은 유가의 공자와 맹자, 도가의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통해 이해해 볼 수 있다. 유가의 경우, 공자는 “충(忠)과 신(信)을 주로 하여 의(義)로 옮아감이 덕(德)을 높이는 것이다.”(『論語』 「顔淵」)라고 하여 덕치를 주장했으며, 맹자는 “행동이 예(禮)에 맞는 것이 덕의 지극함이다.”(『孟子』 「盡心」 下)라고 하여 예로써 덕을 실현하여 인격을 완성해 가기를 권했다. 도가의 경우, 노자는 『老子』 38장에서 청정무위하여 의도적으로 덕행을 강구하지 않는 사람이야말로 덕이 있는 사람이라고 설명했고, 장자는 “제왕의 덕은 천지(天地)를 종(宗)으로 삼고, 도덕(道德)을 주(主)로 삼으며, 무위(無爲)를 상(常)으로 삼는다.”(『莊子』 「天道」) 하여 인위적이지 않은 무위를 통해 드러나는 덕으로써 제왕의 도리를 다하도록 설했다.

  덕에 관한 유가와 도가의 견해가 다소 다른 부분이 있겠지만, 덕이 한 인간의 개인적 삶과 국가적 삶을 이상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인격적 힘이라는 견해만큼은 공통된 점이라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만물을 화육하는 천지음양의 힘으로서의 덕은 『주역(周易)』 「건괘(乾卦)」 문언(文言)편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대인은 천지(天地)와 더불어 그 밝음을 합하고, 일월(日月)과 더불어 그 덕을 합하며, 사시(四時)와 함께 그 차서(次序)를 합하고, 귀신과 함께 그 길흉을 합한다.”라고 전해지는데, 이에 대해 요배중(姚配中, 1792~1844)이 “만물을 화육하는 것을 일러 덕이라 한다.”고 주(註)를 달았다.

 

 

 

  세 번째로, 道가 구체적인 사물을 통해 스스로를 완전히 드러낸 결과로서의 덕은 노자와 장자 그리고 관중과 한비자의 사상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노자는, “도는 낳고 덕은 기르니, 만물은 도를 따르고 덕을 귀하게 여기지 않을 수 없다.”(『老子』 51장)라고 하여 덕을 만물이 생장하는 토대라고 생각하였고 장자는 “물(物)이 생(生)을 얻는 바의 것을 덕(德)이라고 이른다. 형(形)은 도(道)가 아니면 생할 수 없고, 생(生)은 덕(德)이 아니면 밝아질 수 없다.”(『莊子』 「天地」)고 하였다. 관중은 “덕이란 도의 집이며 덕이란 얻음이고, 얻음이란 얻어서 그러하게 된 것을 이르는 것이다.”(『管子』 「心術」 上)라고 하였고, 한비자도 ‘덕을 도의 표현’이라고 보았다.

  다소 어려운 이야기지만 덕을 도와 결부시키고자 한 이들 사상가들의 의도를 기점으로 이해해 보면, 덕은 도가 완전히 실현되고 드러난 결과이다. 보편적이며 무규정적인 성격의 도는 구체적인 형태가 없는데 그 도가 구체적인 사물 속에 내재해 있다가 완전히 드러날 때 그것은 덕이 된다. 그래서 덕은 정신의 힘으로 드러나고 행위의 아름다움과 품격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신선 선녀의 모습이 아름다운 이유는 인간에게 내재된 도와 본질을 완전히 실현했으므로 그 덕이 아름다움이란 외적 형태로 드러난 까닭이다.

  지난 호에서 다룬 서양의 덕과 비교해 보았을 때, 동양과 서양의 사상에는 공통된 점도 있을 것이고 다른 점도 있을 것이다. 덕을 윤리적이며 이상적인 삶을 지향하는 인격적 능력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공통점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서양 사상에서 인간을 중심으로 덕을 설명하려 한 점은, 동양 사상에서 인간보다 상위의 대상인 도와 천지를 통해 덕을 설명하려는 점과 비교할 때 분명 다른 점이 될 것이다.

  동전의 앞뒤와 같이 道와 德은 미세한 틈을 두고 함께 있다. 그래서 수도한다는 것은 덕을 쌓아간다는 말과 다를 바 없을 것이다. 인간이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도를 깨우치고 그것을 하나하나 실현해 나감으로써 도는 맑고 아름다운 덕으로 드러난다. 고로, 정녕 德스러운 이 곧 道스러운 자임이 틀린 바가 없다.

 

 

 

알아봅시다

 

경전(經典)에 나타난 다양한 덕목(德目)

二德 : 『좌씨전(左氏傳)』의 신(信)과 인(仁).

三德 : 『서경(書經)』의 정직(正直)·강극(剛克)·유극(柔克), 『주례(周禮)』의 지덕(至德)·민덕(敏德)·효덕(孝德), 『장자(莊子)』의 상덕(上德)·중덕(中德)·하덕(下德), 『중용(中庸)』의 지(智)·인(仁)·용(勇).

四德 : 『주역(周易)』의 원(元)·형(亨)·이(利)·정(貞), 『서경』의 흠(欽)·명(明)·문(文)·사(思), 『예기(禮記)』의 부덕(婦德)·부언(婦言)·부용(婦容)·부공(婦功).

六德 : 『주례』 「대사도」의 지(知)·인(仁)·성(聖)·의(義)·충(忠)·화(和).

十德 : 『시경(詩經)』의 인(仁)·지(知)·예(禮)·의(義)·신(信)·악(樂)·충(忠)·천(天)·지(地)·덕(德).

 

 

 

 

관련글 더보기 인쇄

Copyright (C) 2009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강천로 882 대순진리회 교무부 tel : 031-887-9301 mail : gyomubu@daesoon.org